본문 바로가기
Chart

스타벅스, 블루보틀, 팀홀튼, 바샤커피, 인텔리젠시아, 랄프스커피, 더치브로스 브랜드스토리, 점포수, 매출 정리 (해외커피브랜드, 기업정보)

by Manager Ahn 2025. 2. 4.
반응형

한국 입점 커피 브랜드 종류

 

 

전 세계적으로 유명한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 7곳의 기업 개요, 브랜드 스토리, 점포 수, 주요 재무 정보(매출액・영업이익), 그리고 각 브랜드만의 특장점을 간략히 정리한 블로그 포스팅 입니다.

주의:

  1. 일부 기업은 비상장사(또는 특정 지주사의 자회사)여서 구체적인 매출・영업이익 자료가 공개되지 않았거나 추정치인 경우가 많습니다.
  2. 환율은 1달러=약 1,300원 수준으로 단순 환산했으며, 실제 시점・환율에 따라 큰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3. 추정치나 언론 보도, 업계 추산 자료를 포함했으므로 정확한 투자·의사결정 시에는 반드시 각사 공식 IR자료 및 최신 공시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1. 스타벅스 (Starbucks)

  1. 기업 개요 & 브랜드 스토리
  • 설립: 1971년, 미국 시애틀 파이크 플레이스 마켓 인근에서 Jerry Baldwin, Zev Siegl, Gordon Bowker가 창업.
  • 성장: 1987년 하워드 슐츠(Howard Schultz)가 인수 후, ‘제3의 공간(Third Place)’ 철학을 내세워 전 세계로 확장.
  • 현재: 글로벌 커피 프랜차이즈를 대표하는 상징적 브랜드.
  1. 점포 수
  • 전 세계 약 36,000여 개(2023년 기준). (한국에만 약 1,800개 이상)
  1. 재무 정보 (2022 회계연도 기준, 연결)
  • 매출액: 약 322.5억 달러 → 한화 약 42조 원
  • 영업이익(Operating Income): 약 46억 달러 → 한화 약 6조 원
    • (※ Starbuck IR 자료 참고)
  1. 특징・강점
  • 프리미엄 브랜드 이미지, 다양한 음료 커스터마이징, 로열티 프로그램(스타벅스 리워드).
  • 원두 선별・로스팅·유통의 체계적 관리, 매장 인테리어와 고객 경험 중시.

2. 블루보틀 (Blue Bottle Coffee)

  1. 기업 개요 & 브랜드 스토리
  • 설립: 2002년, 미국 오클랜드(캘리포니아)에서 제임스 프리먼(James Freeman)이 1인 로스팅 가게로 시작.
  • 성장: 소규모 스페셜티 커피 붐을 타고 미 서부 및 뉴욕, 일본, 한국 등으로 확장.
  • 소유 구조: 2017년 네슬레(Nestlé)가 지분 68% 이상을 인수, 현재 네슬레 산하 브랜드로 운영.
  1. 점포 수
  • 미국, 일본, 한국 등지에 약 100개 내외(2023년 추정).
  1. 재무 정보
  • 비상장사이므로 구체적 수치가 공개되지 않음.
  • 업계 추정치로 연 매출 수천억 원 수준으로 추정(네슬레 연결 실적 내 비중은 미미).
  • 영업이익 자료는 비공개이나, 확장 초기로 적자 또는 소폭 흑자를 오가는 것으로 알려짐.
  1. 특징・강점
  • ‘신선도’에 집중: 로스팅 후 몇 일 이내 원두 사용, 미니멀한 매장 디자인.
  • 스페셜티 커피 트렌드 선도 이미지, 고급스럽고 심플한 브랜드 감각.

3. 팀 홀튼 (Tim Hortons)

  1. 기업 개요 & 브랜드 스토리
  • 설립: 1964년, 캐나다 온타리오주에서 아이스하키 선수 출신 ‘팀 홀튼’이 도넛 가게로 시작.
  • 성장: 캐나다에서 맥도날드보다 많은 매장을 보유할 정도로 캐주얼 커피 & 패스트푸드 시장을 석권.
  • 소유 구조: 2014년 버거킹(Burger King)을 보유한 레스토랑 브랜드 인터내셔널(RBI)에 인수 합병됨.
  1. 점포 수
  • 전 세계 약 5,600여 개(캐나다 중심, 미국・중국・영국 등 진출).
  1. 재무 정보
  • RBI(모기업) 전체 2022년 매출: 약 65.1억 달러(한화 약 8.5조 원).
    • 팀 홀튼은 그룹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추정 약 35억 달러, 한화 약 4.5조 원).
  • 영업이익률은 RBI 전체 약 30% 내외(팀 홀튼 부문도 비슷한 수준으로 추정).
  1. 특징・강점
  • ‘대중적 가격’과 도넛・샌드위치 등 간편식 메뉴의 강점.
  • 캐나다 국민 브랜드로 자리매김, 글로벌 시장에서도 ‘가성비 커피+도넛’ 이미지.

4. 바샤커피 (Bacha Coffee)

  1. 기업 개요 & 브랜드 스토리
  • 설립: 1910년 모로코 마라케시(Marrakech)의 바샤 궁전 근처에서 시작된 카페로 알려짐.
    • 구체적 역사나 창립자 정보는 제한적이나, ‘궁정 커피’ 문화 유산을 현대적으로 계승.
  • 성장: 싱가포르 및 중동(두바이 등), 프랑스 파리 등 고급 백화점을 중심으로 유럽·아시아 시장 확장.
  1. 점포 수
  • 전 세계적으로 30개 내외(주로 중동・싱가포르・프랑스 고급 매장).
  • 상대적으로 지점 수가 적고, 매우 프리미엄 콘셉트로 운영.
  1. 재무 정보
  • 비공개(private) 기업으로 정확한 매출・이익 자료가 없음.
  • 일부 시장분석기관 추정치로 연 매출 수백억~수천억 원대 규모(전 세계 매장 합산).
  1. 특징・강점
  • ‘궁전풍 인테리어’와 다채로운 원두(수백여 종)의 럭셔리 콘셉트.
  • 티 살롱(Tea Salon)처럼 고급 커피 테이스팅 경험을 제공, 매우 높은 단가.

5. 인텔리젠시아 (Intelligentsia Coffee)

  1. 기업 개요 & 브랜드 스토리
  • 설립: 1995년, 미국 시카고에서 더그 젤(Doug Zell)과 에믈리나 엡스타인(Emlina Epstein)이 첫 매장 오픈.
  • 성장: 시카고, LA, 뉴욕 등에 로스터리 & 카페를 운영하며 스페셜티 커피 운동을 주도.
  • 소유 구조: 2015년 피츠(PEET’S Coffee) 산하 지주사(작스패너 그룹, JAB Holdings)로 인수.
  1. 점포 수
  • 시카고, LA, 보스턴, 뉴욕, 애틀랜타 등 약 15~20개 내외(2023년 추정).
  1. 재무 정보
  • 비상장사이므로 세부 공개 없음.
  • 업계 추정 연 매출 수백억 원대 수준, 영업이익은 소규모 흑자 혹은 본사와 통합회계.
  1. 특징・강점
  • 직접 소싱(Direct Trade), 고품질 원두, 바리스타 교육 등 ‘3rd Wave Coffee’ 개척자 중 하나.
  • 지역사회와 협력 로스터리, 카페 전문성을 강조.

6. 랄프스 커피 (Ralph’s Coffee)

  1. 기업 개요 & 브랜드 스토리
  • 설립: 패션 디자이너 랄프 로렌(Ralph Lauren)의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확장의 일환으로, 2014년 뉴욕에서 첫 오픈.
  • 성장: 주로 랄프 로렌 플래그십 스토어 내에 입점하거나 독립 매장으로 뉴욕, 파리, 도쿄, 서울 등에서 운영.
  1. 점포 수
  • 전 세계 약 15여 개 (뉴욕・시카고・홍콩・파리・서울 등), 일부는 팝업 성격.
  1. 재무 정보
  • 랄프 로렌 코퍼레이션(NYSE: RL) 내에서 분리 공시하지 않음.
  • 전체적으로 패션매출이 압도적이고, 커피 부문은 ‘브랜드 마케팅’ 기능에 가까워 매출 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을 것으로 추정.
  1. 특징・강점
  • 패션 & 라이프스타일 연계: 매장 디자인이 랄프 로렌의 클래식·프레피 스타일과 통일.
  • 고급스러운 브랜드 이미지, ‘커피+패션’ 컬래버 체험 공간 제공.

7. 더치 브로스 (Dutch Bros)

더치브로스 카페

  1. 기업 개요 & 브랜드 스토리
  • 설립: 1992년, 미국 오리건주 그랜츠 패스에서 청년 형제(Travis & Dane Boersma)가 시작한 커피 푸드트럭.
  • 성장: 서부 지역 중심의 드라이브 스루 커피 체인으로 큰 인기, 2021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 상장.
  • 미션: ‘우리 동네 활기 충전소’를 표방, 에너지 드링크 혼합 음료 등 독특한 메뉴.
  1. 점포 수
  • 2023년 기준 약 700~800개 매장(주로 미국 서부・남부).
  • 매년 약 100개 이상의 신규 매장 개설 목표로 빠르게 성장 중.
  1. 재무 정보 (2022년, 연결 기준)
  • 매출액: 약 7.39억 달러 → 한화 약 9,600억 원
  • 영업이익: 초기 매장 확장 비용으로 인해 적자 혹은 매우 낮은 이익. (2022년 영업손실 약 2000만 달러 기록)
    • (참고: Dutch Bros 투자자 자료, NYSE 공시)
  1. 특징・강점
  • 드라이브 스루 전문: 빠르고 편리한 구매 경험, 지역 커뮤니티 친화적 마케팅.
  • 개성 있는 음료 메뉴(에너지 드링크 기반 등)로 젊은층 공략 성공.

결론: 7개 브랜드의 공통점 & 차이점

  1. 공통점
    • 전 세계 커피 문화를 이끄는 프랜차이즈 브랜드들로, 각각 고유의 스토리・콘셉트를 내세워 시장을 확대 중.
    • 소비자에게 단순히 음료뿐 아니라 라이프스타일 경험(인테리어, MD, 로열티 프로그램 등)을 제공.
  2. 차이점
    • 기업 규모: 스타벅스와 팀 홀튼처럼 대형 상장사 vs. 바샤커피・랄프스커피처럼 고급 니치 시장 공략, 또는 확장 중인 더치 브로스 등 다양함.
    • 지리적・문화적 배경: 북미 중심(스타벅스, 팀 홀튼, 더치 브로스 등), 모로코・싱가포르(바샤), 일본 유래(블루보틀) 등 각자 기원이 다름.
    • 핵심 포인트: 확장 전략(드라이브 스루, 프리미엄 컨셉, 대중적 가격 등), 제품 차별화(스페셜티 로스팅, 텀블러 굿즈, 디저트 메뉴 등).
  3. 시사점
    • 커피 시장이 포화됐다는 말이 많지만, 프리미엄/스페셜티부터 드라이브 스루까지 새로운 콘셉트로 틈새를 공략하며 여전히 성장 가능성을 보이고 있음.
    • 향후에는 ESG, 친환경 포장재, 로컬 농장 직거래 등 지속 가능성 트렌드가 더욱 중요해질 것으로 예상.

참고자료 (예시)

  • 각사 공식 홈페이지 & 투자자(IR) 페이지
  • 네슬레(Blue Bottle 모회사) 재무보고서, Peet’s Coffee(인텔리젠시아 모회사) 뉴스 리포트 등
  • 각종 경제매체(WSJ, Bloomberg, Reuters 등) 보도, 업계 분석 자료

이상으로 7개 유명 커피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간략히 비교해보았습니다. 각 브랜드의 규모, 역사, 콘셉트, 매출액・영업이익 수준은 상이하지만, 모두가 커피 그 이상의 경험을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는 점이 흥미롭습니다. 앞으로도 변화하는 커피 시장의 흐름과 각 업체의 행보를 지켜보면 좋겠습니다.

 

 


그렇다면 스타벅스의 매출 흐름을 다시 짚어보겠습니다.

 

아래 자료는 스타벅스(Starbucks Corporation)가 매년 발표하는 연간(회계연도) 재무실적(매출과 영업이익)을 요약한 것으로, 각 연도별 수치는 모두 미국 달러(USD) 기준입니다. 추가로, 1달러=약 1,300원으로 단순 환산하여 원화(KRW) 금액도 함께 표기하였으니 참고용으로만 보시기 바랍니다.

유의 사항

  • 스타벅스 회계연도(Fiscal Year)는 매년 9월 말~10월 초에 종료됩니다. 예: 2023년 회계연도(FY2023)는 2022년 10월 초 ~ 2023년 10월 초 사이 기간.
  • 2023년 실적은 기업 발표(어닝 리포트)에 따른 잠정치로, 이후 감사나 환율 변동 등에 따라 소폭 달라질 수 있습니다.
  • 환율 고정(1 USD ≈ 1,300 KRW)으로 계산한 수치이므로, 실제 환율 시점이나 회계보고서상 원화 환산 금액과는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1. 스타벅스 연도별 매출 & 영업이익 (2018~2023, 회계연도 기준)

스타벅스 매출, 영업이익

단위 변환 예시

  • 매출 244.7억 달러 (FY2018) = 24.47B USD → 24.47 × 1,300 = 약 31.81조 원
  • 영업이익 38.8억 달러 (FY2018) = 3.88B USD → 3.88 × 1,300 = 약 5.04조 원

2. 연도별 주요 변동 요약

  1. 2018~2019년
    • 확장세 지속: 중국・미국 시장 매장 증가와 프리미엄 음료 판매 확대.
    • 매출 약 240억→260억 달러 수준, 영업이익도 38억→40억 달러로 꾸준히 상승.
  2. 2020년
    • 코로나19 팬데믹 직격타: 매장 영업 제한, 외출・관광 감소 등으로 매출이 전년 대비 크게 줄어듦.
    • 영업이익은 15.6억 달러(약 2조 원) 수준으로 급감.
  3. 2021년
    • 리오프닝(경제 재개) 효과: 모바일 주문, 드라이브 스루 매장 강화 등을 통해 매출 290억 달러 수준으로 반등.
    • 영업이익 48.7억 달러로 이전 수준 회복.
  4. 2022년
    • 사상 최대 매출(약 322.5억 달러, 원화 약 42조 원).
    • 다만 물류비・인건비 상승 등 영향으로 영업이익률 다소 하락(45.7억 달러).
  5. 2023년 (잠정)
    • 글로벌 매장 수 약 36,000개 돌파.
    • 매출 360억 달러 이상(약 47조 원)에 달하며, 영업이익도 **50억 달러 중후반(약 7조 원 이상)**으로 추정, 사상 최고 수준 경신.

3. 스타벅스의 전략 및 전망

  • 글로벌 확장: 북미, 중국, 아시아 각지에 매장 확대. 향후 디지털 채널(모바일 주문, 배달)과 고객 로열티(Starbucks Rewards) 프로그램 강화.
  • 제품 다각화: 프리미엄 원두(Reserve Roastery), RTD(Ready To Drink) 음료, 식품·브런치 메뉴 등 푸드 매출 확대 시도.
  • 인건비・원자재 비용 증가: 2022년부터 이어진 커피 원두 가격 상승, 임금 인상 등이 비용 부담 요인이지만, 브랜드 파워로 가격 전가 가능성이 큼.
  • ESG 경영: 재활용 컵·친환경 매장, 커피 농가 지원 등 사회적 책임 활동을 강조.

결과적으로, 스타벅스는 팬데믹 충격을 빠르게 극복하고 2023년 들어 다시 한 번 매출・이익 모두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향후 중국 시장 회복, AI・빅데이터를 활용한 고객 맞춤화 등이 추가 성장 동력으로 꼽히고 있습니다.


참고 자료

작성 시점 이후 환율, 회계감사 결과, 기업 전략 등에 따라 실제 수치와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니, 최신 IR 보고서와 공시 자료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끝. 마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