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리기판 위에 반도체 소자를 직접 제조하는 과정에 초점을 맞춘 공정
1. 유리기판 반도체 제조 공정 개요
유리기판을 활용한 반도체 제조는 일반적으로 아래와 같은 순서로 진행됩니다.
① 유리기판 준비
- 고순도 유리기판을 사용하며, 대표적으로 Corning사의 Eagle XG, Asahi Glass사의 AN100 등이 사용됩니다.
- 기판 크기는 370×470mm, 730×920mm 등 대형 패널까지 확장될 수 있음.
- 기판 표면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평탄화(Polishing) 공정을 수행.
② 박막 증착 (Thin Film Deposition)
- 반도체 소자의 활성층, 게이트 절연층, 전극 등을 형성하기 위해 박막 증착 진행.
- 주요 증착 방법
- PVD (Physical Vapor Deposition): 금속 전극(Al, Mo, Cu) 증착
- CVD (Chemical Vapor Deposition): SiO₂, SiNx 등의 절연층 증착
- ALD (Atomic Layer Deposition): 박막 균일성을 높이기 위해 사용
③ 패터닝 (Photolithography)
- 실리콘 웨이퍼와 마찬가지로 포토리소그래피(Photolithography) 공정을 사용.
- 유리기판 위에 감광성 레지스트(PR, Photoresist)를 도포한 후, 노광(Exposure) 및 현상(Development) 과정을 거쳐 패턴 형성.
④ 에칭 (Etching)
- 형성된 패턴에 맞춰 불필요한 박막을 제거.
- 습식 에칭(Wet Etching) & 건식 에칭(Dry Etching) 기법 사용.
⑤ 이온 도핑 (Ion Implantation 또는 Doping)
- TFT(박막 트랜지스터) 또는 반도체 활성층(Active Layer)에 필요한 전기적 특성을 부여하기 위해 불순물(예: 인(P), 붕소(B))을 주입.
⑥ 금속 배선 (Metallization)
- 회로 형성을 위해 유리기판 위에 금속 배선 형성.
- Mo, Al, Cu 등 금속을 스퍼터링(Sputtering) 방식으로 증착 후 패터닝.
- 배선 저항을 줄이기 위해 Cu CMP(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공정 적용 가능.
⑦ 후처리 및 검사
- 공정 완료 후 열처리(Annealing), 패키징, 전기적 검사(Electrical Test) 수행.
- 디스플레이 패널의 경우 컬러 필터(Color Filter), 편광판 부착, 본딩(Bonding) 등의 추가 공정 진행.
2. 유리기판 반도체 제조의 주요 응용분야
응용 분야설명
TFT-LCD & OLED | 박막 트랜지스터(TFT)를 형성하여 디스플레이 소자의 구동 회로 제작 |
Glass Interposer | 실리콘 대신 유리 기반의 인터포저를 사용하여 고속 반도체 패키징 구현 |
마이크로 LED | 유리 기판 위에 LED 소자를 배치하여 디스플레이 제조 |
광학 반도체 (Optoelectronics) | 광 센서, LiDAR 등에 사용되는 반도체 소자 제작 |
3. 유리기판 반도체 제조의 장점
- ✅ 대면적 구현 가능: 웨이퍼보다 크기가 커서 디스플레이, 인터포저 등에 유리함.
- ✅ 우수한 광학 특성: 투명성이 높아 광학 반도체 및 마이크로 LED 응용 가능.
- ✅ 낮은 유전율 (Low-k): 고속 신호 처리가 필요한 반도체 패키징에서 신호 간섭 감소.
- ✅ 경량화: 실리콘 대비 무게가 가벼워 웨어러블 디바이스, AR/VR 등에 적합.
4. 유리기판 반도체 제조의 한계점
- ❌ 취약한 기계적 강도: 웨이퍼보다 깨지기 쉬워 핸들링 및 공정 제어가 중요함.
- ❌ 기존 반도체 공정과의 호환성 부족: 실리콘 기반 공정과 다른 접근법 필요.
- ❌ 비용 문제: 일부 공정(예: Glass Interposer)은 아직 실리콘 대비 생산 비용이 높음.
결론
유리기판을 활용한 반도체 제조는 디스플레이, 인터포저, 광학 반도체 등의 분야에서 중요한 기술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특히 마이크로 LED, AR/VR 디스플레이, 2.5D & 3D 패키징 등에서 유리기판의 활용도가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기존 실리콘 웨이퍼 대비 경량화 및 광학적 이점이 커 향후 발전 가능성이 높은 기술입니다. 😊
반도체 패키징용 유리기판을 제조하는 가공 및 회로 형성 과정에 초점을 맞춘 제조 공정, 그리고 관련 기업
해당 자료는 유리기판 반도체 제조 공정의 주요 밸류체인(Value Chain)과 각 공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기업들을 정리한 것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각 공정의 역할과 주요 기업들의 특성을 분석하겠습니다.
2. 유리기판 반도체 제조 공정 및 주요 기업 분석
제조공정설명, 주요 기업
TGV (Through Glass Via) | 유리기판에 미세한 구멍(Via)을 뚫어 전기적 연결을 위한 배선 경로 형성 | 필옵틱스, LPKF, 에프앤에스테크, 캠트로닉스 |
구리도금 | TGV 공정 후, 전기적 전도성을 부여하기 위해 구리층 도금 | 와이엠티, 씨앤지하이테크 |
회로형성 | 구리 배선을 기반으로 전기 회로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 | Ajinomoto, 와이씨켐, AMAT |
ABF 필름 부착 & 드릴링 | ABF(Anjinomoto Build-up Film) 절연재를 부착하고 드릴링 작업 수행 | 필옵틱스, 이오테크닉스 |
싱귤레이션 | 개별 칩으로 절단하는 공정 (다이싱과 유사) | 필옵틱스, 로체시스템즈 |
테스트 및 패키징 | 완성된 반도체 기판의 전기적 테스트 및 최종 패키징 | 기가비스, HB테크놀로지, ISC |
3. 공정별 역할과 주요 기업들의 특성
(1) TGV(Through Glass Via) – 유리기판 미세홀 가공
- 설명:
- 유리기판을 반도체 회로로 활용하기 위해 미세한 전도성 구멍(Via)을 형성하는 공정.
- 실리콘 기반의 TSV(Through Silicon Via) 공정과 유사하지만, 유리는 실리콘보다 가공이 어려움.
- 레이저 또는 화학적 방법을 활용하여 구멍을 뚫음.
- 주요 기업:
- 필옵틱스, LPKF, 에프앤에스테크, 캠트로닉스
- 필옵틱스와 LPKF는 레이저 가공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며, 유리기판을 위한 초정밀 가공이 가능.
- 캠트로닉스는 전자소재 및 PCB 관련 기술력을 바탕으로 유리기판 가공 솔루션을 제공.
(2) 구리도금 – 전기적 전도성 부여
- 설명:
- TGV 공정으로 만든 미세홀 내부에 구리를 증착하여 전기적 연결을 가능하게 함.
- 일반적으로 전기도금(Electroplating) 및 화학적 도금(Chemical Plating) 기법을 사용.
- 주요 기업:
- 와이엠티, 씨앤지하이테크
- 와이엠티는 반도체 및 PCB 도금 분야의 강자로, 다양한 금속 도금 솔루션을 제공.
- 씨앤지하이테크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화학재료 공급 기업으로, 도금 솔루션을 보유.
(3) 회로형성 – 패턴화 및 배선 제작
- 설명:
- 구리 도금 후, 포토리소그래피 및 에칭 공정을 통해 회로 패턴을 형성.
- 유리기판 위에 전기적 배선을 형성하여 신호 전달을 가능하게 함.
- 주요 기업:
- Ajinomoto, 와이씨켐, AMAT
- Ajinomoto는 고성능 절연재(ABF) 공급업체로, 반도체 패키징에도 활용됨.
- 와이씨켐과 AMAT(Applied Materials)는 회로 형성 공정을 위한 포토리소그래피 및 에칭 기술을 보유.
(4) ABF 필름 부착 & 드릴링 – 절연층 형성
- 설명:
- ABF(Anjinomoto Build-up Film)는 반도체 패키징용 절연 필름.
- 필름을 부착한 후, 특정 부분을 드릴링하여 배선 연결을 위한 공간 확보.
- 주요 기업:
- 필옵틱스, 이오테크닉스
- 필옵틱스는 레이저 드릴링 및 필름 부착 장비를 개발.
- 이오테크닉스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레이저 가공 전문 기업으로, 미세 가공 솔루션을 제공.
(5) 싱귤레이션 – 개별 칩으로 절단
- 설명:
- 대형 유리기판에서 개별 칩(Die) 단위로 절단하는 공정.
- 실리콘 반도체의 다이싱(Dicing)과 유사하지만, 유리는 깨지기 쉬워 특수 공정이 필요.
- 주요 기업:
- 필옵틱스, 로체시스템즈
- 필옵틱스는 레이저 기반 싱귤레이션 장비를 보유.
- 로체시스템즈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고정밀 공정 장비 개발 기업.
(6) 테스트 및 패키징 – 최종 검사 및 출하 준비
- 설명:
- 완성된 유리기판 반도체의 전기적 특성을 검사하고, 최종 패키징 수행.
- 기능 테스트, 신뢰성 테스트 후 출하.
- 주요 기업:
- 기가비스, HB테크놀로지, ISC
- 기가비스는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테스트 장비 전문 기업.
- HB테크놀로지는 반도체 프로브 카드 및 테스트 솔루션을 제공.
- ISC는 패키징 및 후공정 테스트 솔루션을 담당.
4. 결론 및 시사점
✅ 유리기판 반도체 시장은 지속 성장 중
- 유리기판은 디스플레이, 광학 반도체, 인터포저(Glass Interposer) 등에서 활용 증가.
- 기존 실리콘 웨이퍼보다 경량화, 저유전율 특성으로 고속 신호 전송에 유리.
- 마이크로 LED 및 AR/VR 디스플레이, 2.5D & 3D 반도체 패키징 등에서 채택 확산.
✅ 각 공정별 핵심 기업들이 존재하며, 국내 기업들도 강세
- 필옵틱스, 와이엠티, 이오테크닉스 등 국내 기업들이 유리기판 공정 주요 기술을 보유.
- 특히 레이저 가공, 도금, 회로 형성 분야에서 글로벌 경쟁력 강화 중.
✅ 추후 과제: 생산 비용 절감 및 대량 생산 가능성
- 아직 기존 실리콘 기반 공정보다 생산 비용이 높아, 비용 절감 및 수율 개선이 핵심 과제.
- 기술 발전과 함께 대량 생산 공정이 정착되면 시장이 더욱 확대될 전망.
5. 해외기업들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글을 참조하세요!!
삼성전자도 유리기판 직접 제조 추진. 유리기판 관련 국내, 해외 기업 리스트
https://www.etnews.com/20250206000317 삼성전자, 반도체 유리기판에 뛰어든다…'직접 제조 추진'삼성전자가 반도체 유리기판 시장에 진출한다. 유리기판은 인공지능(AI) 칩과 같은 차세대 반도체 구현을
only-chart.tistory.com
향후 반도체 관련 산업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할 유리기판 (논문, 보고서 등)
유리기판이 앞으로 반도체 및 관련 산업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할 수밖에 없는 이유를 설명한 논문, 보고서, 및 주요 산업 동향은 여러 연구기관과 기업의 자료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only-chart.tistory.com
마칩니다.
'Ch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성전자도 유리기판 직접 제조 추진. 유리기판 관련 국내, 해외 기업 리스트 (0) | 2025.02.06 |
---|---|
ROE? 당좌비율? EPS가 뭐야? 네이버 증권화면 주요재무정보 읽는 법! (2) | 2025.02.06 |
매틀러토레도(Mettler Toledo) 기업 역사, 매출, 영업이익 정보 (2) | 2025.02.06 |
미국 로봇 스타트업 ‘피규어AI(FigureAI)’ 라는 회사 알아보자! (2) | 2025.02.05 |
양자컴퓨터 아주 쉽게 설명, 그리고 관련 상장 외국 기업들 (9) | 2025.02.0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