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27698
트럼프 '관세 폭주' 깜짝 유예…5경 넘는 미국빚 때문이었다 | 중앙일보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중국을 제외하고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발표한 직후 ‘국채 시장의 반응 때문에 관세를 유예했느냐’는 질문에 "채권 시장을 지켜보고 있었다"며 "국채 시
www.joongang.co.kr
금일 이런 기사를 보았습니다.
미국 국채 시장 불안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질주를 멈춰 세웠다. 트럼프 대통령은 9일(현지시간) 중국을 제외하고 상호관세를 90일 유예한다고 발표한 직후 ‘국채 시장의 반응 때문에 관세를 유예했느냐’는 질문에 “채권 시장을 지켜보고 있었다”며 “국채 시장은 매우 까다롭다. 어젯밤에 보니까 사람들이 불안해하더라”고 답했다. 국채 금리가 오르면 35조 달러에 달하는 미국의 연방 부채로 인한 이자 부담이 치솟는다.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전쟁을 시작한 트럼프 대통령이 시장의 반격을 맞으면서 브레이크를 밟았다.
미 국채 금리가 급등(국채 가격 하락)한 건 매도세가 급증했기 때문이다. 시장에서 국채를 팔겠다는 사람이 늘면서 가격은 내려가고, 금리는 상승했다. 표면적으로는 헤지펀드들이 증시 하락 등으로 마진콜(투자 손실로 인해 발생하는 추가 증거금 요구) 압박을 받으면서 이를 메우려고 국채를 대량 매도한 게 원인으로 꼽힌다.
위와 같은 내용인데, 왜 이런 상황이 벌어진건지, 국채란 무엇인지 간략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1. 트럼프 대통령이 왜 국채 금리에 이렇게 예민한가?
(1) 재정 부담 급증 우려
- 미국 연방정부 부채가 이미 막대한 수준
35조 달러(약 5경 1860조 원)에 달하며, GDP(국내총생산) 대비 124% 정도로 추정됩니다. - 국채 금리가 오르면 이자 부담도 커짐
2024회계연도 기준, 미국 정부는 국채 이자로만 1조 달러(약 1657조 원)를 지불했습니다. 이는 한 해 국방비나 의료보험 지출 등을 뛰어넘는 규모입니다. - 금리가 조금만 올라도 막대한 이자 비용 증가
정부 재정에 부담이 되므로, 트럼프 대통령 입장에서는 금리가 급등하는 상황을 방치하기가 어렵습니다.
(2) 최근 국채 금리 급등 배경
- 상호관세(관세 전면전)로 인해 시장 불안이 가중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를 상대로 관세를 매기겠다고 선언한 뒤, 중국 등 일부 국가가 미 국채를 대거 팔아치우는 듯한 움직임을 보였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국채가 시장에 많이 풀리면(=매도 증가), 국채 가격 하락 → 국채 금리 상승
- 헤지펀드들의 마진콜(추가 증거금 요구) 문제
주식 시장 하락으로 손실을 본 투자자들이 현금을 마련하기 위해 국채도 한꺼번에 매도하면서 국채 금리가 단기간에 크게 올랐다는 설명도 있습니다. - 달러 가치가 약세를 보임에도 금리만 치솟는 이례적 상황
보통 미국 국채 금리가 급등할 때는 달러가 강세를 띠지만, 이번에는 달러 약세라는 점에서 시장이 “단순한 금리 상승이 아니라, 트럼프발(發) 관세 갈등에 대한 불안이 반영된 특수 케이스”라고 해석합니다.
(3)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유예’ 배경
- 갑작스러운 국채 금리 급등으로 정부 재정 부담이 커지자, 트럼프 대통령이 90일 상호관세 유예를 발표
- ‘왜 관세를 유예하느냐’는 질문에 “채권 시장을 지켜보고 있었다”고 밝힐 정도로, 국채 금리에 민감하게 대응
- 실제로 국채 금리가 지나치게 올라가면 연방정부 이자 부담이 폭증해, 자칫 재정 위기를 부를 수 있으므로 트럼프 대통령이 브레이크를 밟은 것이라는 분석이 나옵니다.
2. 미국 국채(Treasury)란 무엇이고, 어떻게 작동하는가?
(1) 미국 국채(Treasury)의 기본 개념
- 미국 연방정부가 발행하는 채권
- 정부가 돈을 빌리는 방법 중 하나입니다.
- ‘채권’은 쉽게 말해 “정부(혹은 기업)가 투자자로부터 돈을 빌리고, 일정 기간 뒤 원금과 이자를 갚겠다”고 약속하는 증서입니다.
- 미국 국채는 전 세계 금융시장에서 가장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대표 채권입니다.
- 보통 국가 신용도가 높을수록 그 나라가 발행하는 국채는 ‘안전자산’ 취급을 받습니다(부도 가능성이 낮기 때문).
(2) 채권 가격과 금리의 반대 움직임
- 채권금리(수익률)와 채권가격은 ‘반비례’ 관계
- 새로운 채권 금리가 올라가면, 기존에 낮은 금리로 발행된 채권 매력도는 떨어집니다. 따라서 그 기존 채권의 ‘가격’이 시장에서 하락하게 됩니다.
- 반대로 시장 금리가 내려가면, 과거에 좀 더 높은 금리로 발행된 채권은 매력도가 높아져 ‘가격’이 오릅니다.
- 즉, “채권 금리가 올라간다” = “채권 가격이 떨어진다”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3) 국채 매입·매도와 수급
- 투자자(개인/기관/다른 나라 중앙은행 등)가 국채를 삽니다. → 수요가 증가하면 가격 상승, 금리 하락
- 반대로 투자자들이 국채를 일시에 팔면(공급이 많아짐), 가격이 떨어지고 금리가 치솟습니다.
- 중국·일본·유럽 등 각국 정부나 투자기관이 미국 국채를 대량 보유하고 있어, 이들이 일제히 ‘팔아버리겠다’고 나서면 미 국채 금리가 급등하며 미국 재정 당국이 어려움을 겪게 됩니다.
(4)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와 금리·유동성
- 미국의 중앙은행인 연준(Fed)은 경기 여건에 따라 국채 매입·매도를 통해 시장 금리를 조정하거나, 통화량(유동성)을 관리합니다.
- 금리 급등과 시장 유동성 부족이 심각해지면, 연준이 양적 긴축을 중단하고 국채를 다시 사들이거나(양적 완화적 정책), 단기 자금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해 금리 상승을 누그러뜨릴 수 있습니다.
- 이는 너무 높은 금리가 경기를 둔화시키고 재정 부담을 키울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정리
- 트럼프 행정부가 관세를 대폭 올리겠다고 선언 → 이에 대해 중국 등 주요국이 미국 국채를 대규모로 매도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짐.
- 국채 매도가 늘면 채권 가격은 하락하고, 금리는 상승합니다.
- 이미 막대한 연방 부채를 떠안고 있는 미국 정부에겐 금리 상승 = 이자 부담 폭증을 의미.
- 실제로 미 국채 금리가 단기간에 매우 빠르게 뛰자, 트럼프 대통령이 90일 관세 유예를 발표해 시장 불안을 달래려 했습니다.
- 미국 국채는 전 세계 금융시장에서 가장 안전한 채권으로 인식되지만, 그만큼 해외 투자자 보유량도 커서 “외국이 팔아버리면 미국 재정이 흔들릴 수 있다”라는 우려가 항상 존재합니다.
- 채권금리와 채권가격은 반대로 움직이며, 국채 금리가 급등(=국채 가격 급락)하면 정부·기업·개인의 대출 금리 전반이 오르는 연쇄효과가 발생할 수 있어, 미국 정부로서는 국채 시장 안정이 매우 중요합니다.
결국 트럼프 대통령이 국채 금리에 민감하게 반응한 이유는 “금리 급등 → 연방정부 부채 이자 부담 급증 → 재정 건전성 악화 → 경제 전반 파장”이라는 악순환을 우려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Ch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전선 증권사리포트 내용 정리, 전망과 차트 분석 (1) | 2025.05.26 |
---|---|
토모큐브 기술력을 이해해보자. 앞으로의 전망은? (5) | 2025.04.11 |
일본의 버블경제 전, 후 어떤 일들이 있었길래.. (플라자합의) (13) | 2025.03.31 |
소형모듈원전(Small Modular Reactor, SMR) 알기쉽게 설명하기. (feat. 관련업체) (1) | 2025.03.11 |
미국과 중국 군함의 종류와 수량, 미국 군함 시장규모는? (Feat. 조선업) (1) | 2025.03.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