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hart

미국과 중국 군함의 종류와 수량, 미국 군함 시장규모는? (Feat. 조선업)

by Manager Ahn 2025. 3. 7.
반응형

최근 조선업에 대한 관심이 뜨거운 가운데 아래와 같은 뉴스가 나와서 영상을 흥미롭게 보게되었습니다. 배가 정말 크네요. 미국 칼빈슨함이라고 하는데 규모가 어마어마 합니다.

미국 항공모함 칼빈슨함

 

미국 항공모함 칼빈슨함

 

미국 항공모함 칼빈슨함

 

미국 항공모함 칼빈슨함
미국 항공모함 칼빈슨함

 

먼저 칼빈슨함에 대해 알아보자면..

 

미국 칼빈슨함 (USS Carl Vinson, CVN-70)은 항공모함(Aircraft Carrier)에 속하는 군함입니다.

칼빈슨함의 주요 정보

  • 군함 종류: 항공모함 (Aircraft Carrier)
  • 함급: 니미츠급(Nimitz-class)
  • 건조 시기: 1975년 기공, 1980년 진수, 1982년 취역
  • 배수량: 약 100,000톤 (만재 배수량)
  • 추진 방식: 원자력 추진 (2기 원자로, 무제한 항속 가능)
  • 길이: 333m
  • 승조원: 약 5,000명
  • 항공기 탑재 능력: 약 90대 (F/A-18 슈퍼호넷, EA-18G 그라울러, E-2C 호크아이 등)

칼빈슨함의 역할

  1. 해군의 전략적 핵심 전력: 전 세계 어디에서든 공중작전을 수행할 수 있으며, 미국 해군의 기동전단(항모전단) 중심 역할을 함.
  2. 전투기 운용: F/A-18 슈퍼호넷과 같은 전투기 운용으로 제공권 장악 가능.
  3. 해상 작전 지원: 대잠수함전, 정찰, 공습, 전자전 등 다양한 임무 수행.
  4. 핵 억제 및 전 세계 배치 가능: 핵 추진 방식 덕분에 장거리 이동과 지속 작전 수행이 가능.

칼빈슨함의 제조 및 유지보수

  • 제조사: 헌팅턴 잉갈스 인더스트리(Huntington Ingalls Industries)
  • 유지보수: 주로 미국 내 조선소에서 수행되며, 대규모 개조 및 정비는 뉴포트 뉴스 조선소(Newport News Shipbuilding)에서 담당함.

칼빈슨함은 미국이 운영하는 니미츠급 항공모함 중 하나이며, 현재도 미 해군의 핵심 전력으로 활동 중입니다.

 

 

그럼 여기서 궁금한것은, 미국 군함의 종류와 숫자는 어떻게 될까?

 

2024년을 기준으로 미국 해군의 주요 군함 종류, 수량, 역할, 가격, 제조사 및 유지보수 정보를 아래와 같이 정리하였습니다.

1. 항공모함 (Aircraft Carriers)

  • 수량: 11척
  • 역할: 해상에서 항공 작전을 지휘하며, 전투기와 헬리콥터를 운용하여 공중 우세를 확보하고 지상 및 해상 목표물을 타격합니다.
  • 가격: 제럴드 R. 포드급 항공모함의 경우, 척당 약 130억 달러 (약 19조, 25년 3월 환율기준(1446원))
  • 제조사: 헌팅턴 잉갈스 인더스트리(Huntington Ingalls Industries)
  • 유지보수: 주로 미국 내 조선소에서 수행되지만, 최근 한국의 조선소들도 유지보수 작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2. 순양함 (Cruisers)

  • 수량: 12척 (타이콘데로가급)
  • 역할: 이지스 전투 시스템을 탑재하여 공중, 해상, 지상 및 잠수함 위협에 대응하며, 함대 방공 및 지휘 역할을 수행합니다.
  • 가격: 척당 약 10억 달러 (약 1조5천억, 25년 3월 환율기준(1446원))
  • 제조사: 잉갈스 조선소
  • 유지보수: 미국 내 조선소에서 주로 수행됩니다.

3. 구축함 (Destroyers)

  • 수량: 73척 (알레이 버크급)
  • 역할: 다목적 전투함으로, 대공, 대함, 대잠수함 작전을 수행하며, 이지스 시스템을 통해 탄도미사일 방어 역할도 수행합니다.
  • 가격: 척당 약 18억 달러 (약 2조6천억, 25년 3월 환율기준(1446원)) 
  • 제조사: 배스 아이언 웍스(Bath Iron Works), 헌팅턴 잉갈스 인더스트리
  • 유지보수: 미국 내 조선소에서 주로 수행되지만, 한국의 조선소들도 유지보수 작업에 참여하고 있습니다.

4. 잠수함 (Submarines)

  • 수량: 원자력 추진 잠수함 74척
    • 탄도미사일 잠수함(SSBN): 14척
    • 공격 잠수함(SSN): 52척
    • 유도미사일 잠수함(SSGN): 4척
  • 역할: 전략적 핵 억제, 적 잠수함 및 수상함 격침, 정찰 및 특수 작전 지원
  • 가격: 버지니아급 공격 잠수함의 경우, 척당 약 27억 달러 (약 3조9천억, 25년 3월 환율기준(1446원)) 
  • 제조사: 제너럴 다이내믹스 일렉트릭 보트(General Dynamics Electric Boat), 헌팅턴 잉갈스 인더스트리
  • 유지보수: 미국 내 전문 조선소에서 수행됩니다.

5. 상륙함 (Amphibious Ships)

  • 수량:
    • 상륙강습함(LHA/LHD): 9척
    • 상륙수송함(LPD): 11척
    • 상륙선거함(LSD): 8척
  • 역할: 해병대의 상륙 작전 지원, 병력 및 장비 수송
  • 가격: 아메리카급 상륙강습함의 경우, 척당 약 35억 달러 (약 5조1천억, 25년 3월 환율기준(1446원)) 
  • 제조사: 헌팅턴 잉갈스 인더스트리
  • 유지보수: 미국 내 조선소에서 주로 수행됩니다.

6. 호위함 (Frigates)

  • 수량: 현재 건조 중 (컨스텔레이션급)
  • 역할: 대잠수함전, 호위 임무 수행
  • 가격: 척당 약 12억 달러 (약 1조7천억, 25년 3월 환율기준(1446원)) 
  • 제조사: 피칸티리 마리네티(Picantieri Marinette)
  • 유지보수: 미국 내 조선소에서 수행될 예정입니다.

그럼 중국은??

 

중국 인민해방군 해군(PLAN)은 최근 몇 년간 급속한 현대화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군함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최신 정보를 기반으로 한 주요 군함의 종류와 수량을 정리한 것입니다.​

1. 구축함 (Destroyers)

  • 타입 052D (Type 052D)
    • 수량: 2022년 기준으로 25척이 운용 중이며, 4척이 건조 중, 추가로 8척이 계획되어 총 37척이 예정되어 있습니다.
  • 타입 055 (Type 055)
    • 수량: 2022년 말까지 8척이 취역하였으며, 추가로 8척이 14차 5개년 계획(2021-2025) 하에 건조 중입니다.

2. 호위함 (Frigates)

  • 타입 054A (Type 054A)
    • 수량: 2019년 중반까지 30척이 운용 중이었으며, 2022년부터 추가로 10척이 취역하였고, 마지막 10척은 개발 중입니다.

3. 초계함 (Corvettes)

  • 타입 056A (Type 056A)
    • 수량: 총 50척이 운용 중입니다. 

4. 미사일 고속정 (Missile Boats)

  • 타입 22 (Type 22)
    • 수량: 총 82척이 운용 중입니다.

5. 상륙함 (Amphibious Warfare Ships)

  • 타입 075 (Type 075)
    • 수량: 3척이 운용 중이며, 1척이 해상 시험 중입니다. 추가로 4척이 계획되어 있습니다.
  • 타입 071 (Type 071)
    • 수량: 8척이 운용 중이며, 태국에 1척이 추가로 공급되었습니다.

6. 해안경비함 (Coast Guard Cutters)

  • 자오터우급 (Zhaotou-class)
    • 수량: 2척이 운용 중입니다.

이러한 현대화 노력으로 중국 해군은 세계 최대 규모의 해군으로 성장하고 있으며, 2030년까지 435척의 전투 준비된 함정을 보유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리고 중국의 24년기준 잠수함을 정리해보면..

 

1. 핵추진 탄도미사일 잠수함 (SSBN)

  • 진급(Type 094)
    • 수량: 6척
    • 특징: JL-2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을 탑재하여 핵 억제력을 제공합니다.
  • 진급(Type 096)
    • 수량: 개발 중이며, 향후 6척 이상 건조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특징: 향상된 스텔스 기능과 신형 SLBM인 JL-3을 탑재할 예정입니다.

2. 핵추진 공격 잠수함 (SSN)

  • 샹급(Type 093)
    • 수량: 6척
    • 특징: 대함 및 대잠 작전을 수행하며, 순항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습니다.
  • 한급(Type 091)
    • 수량: 1척 (퇴역 예정)
    • 특징: 중국 최초의 핵추진 공격 잠수함으로, 현재는 제한적인 작전 능력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3. 디젤-전기 추진 공격 잠수함 (SSK)

  • 위안급(Type 039A/B)
    • 수량: 17척
    • 특징: 공기불요추진(AIP) 시스템을 갖추어 장시간 잠항이 가능하며, 스텔스 성능이 향상되었습니다.
  • 송급(Type 039)
    • 수량: 12척
    • 특징: 중국이 자체 개발한 디젤-전기 추진 잠수함으로, 대함 및 대잠 작전에 활용됩니다.
  • 밍급(Type 035)
    • 수량: 12척
    • 특징: 구형 모델로, 현재는 주로 연안 방어 임무에 사용됩니다.

미국 군함을 다른나라에서 제작한 사례가 있을까?

 

미국 해군 함정은 전통적으로 미국 내 조선소에서 건조되어 왔습니다. 이는 '존스 액트(Johns Act)'와 같은 법률에 따라 군함을 포함한 선박은 미국 내에서 건조해야 한다는 규정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최근 미국 의회에서는 이러한 규정을 완화하여 동맹국의 조선소에서도 해군 함정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발의되었습니다. 2025년 2월 5일, 마이크 리 상원의원과 존 커티스 상원의원은 '해군 준비태세 보장법'과 '해안경비대 준비태세 보장법'을 발의하였으며, 이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이나 미국과 상호방위조약을 체결한 인도·태평양 지역 국가의 조선소에서 해군 함정을 건조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

 

이러한 법안이 통과되면, 한국과 같은 동맹국의 조선소에서 미국 해군 함정을 건조하는 것이 가능해집니다. 현재까지 미국 해군 함정이 다른 나라에서 건조된 사례는 없지만, 이러한 법안이 시행되면 한국의 조선업체들이 미국 해군 함정 건조에 참여할 수 있는 길이 열릴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한국의 한화오션은 미국 필라델피아에 위치한 필리 조선소를 인수하여 미국 내 생산 거점을 마련하였으며, 이는 향후 미국 해군 함정 건조 참여에 유리한 위치를 점하게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현재까지 미국 해군 함정이 다른 나라에서 건조된 사례는 없지만, 법률 개정과 동맹국과의 협력을 통해 앞으로는 이러한 사례가 나타날 가능성이 있습니다.

 

미국 군함의 시장규모는??

 

미국 해군은 향후 30년간 함정 현대화와 전력 강화를 위해 대규모 예산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주요 시장 규모는 다음과 같습니다.

 

1. 신규 함정 건조 예산

  • 연평균 예산: 약 300억 달러 (한화 약 42조 원)
  • 총 예산: 약 9,000억 달러 (한화 약 1,260조 원)
  • 목표 함정 수: 현재 296척에서 2054년까지 381척으로 확대
  • 연평균 건조 필요 함정 수: 약 12척

2. 유지보수(MRO) 시장 규모

  • 연간 예산: 60억~74억 달러 (한화 약 8.8조~10.8조 원)
  • 대상 함정: 잠수함·항공모함 제외한 전개 중인 전함 149척 (2024년 11월 기준)

3. 글로벌 함정 MRO 시장

  • 연간 규모: 약 577억 6,000만 달러 (한화 약 78조 원)
  • 미국 시장 비중: 약 20조 원

이러한 대규모 예산 투입과 시장 규모는 한국 조선업계에 새로운 기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특히, 미국 의회에서 동맹국 조선소에서 미 해군 함정을 건조할 수 있도록 하는 법안이 발의되어 한국 조선업체들의 참여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또한, 한국의 HD현대중공업과 한화오션은 미 해군과 함정정비협약(MSRA)을 체결하여 MRO 시장에 진출하였으며, 이는 한국 조선업계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참고: 위 정보는 2025년 3월까지의 자료를 기반으로 작성되었으며, 최신 상황에 따라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