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ything

대통령 탄핵 과정 상세 정리, 해외 대통령 탄핵 사례 정리

by Manager Ahn 2025. 2. 10.
반응형

대통령 탄핵이란, 헌법이나 법률을 위반한 대통령을 직무에서 해임하는 절차입니다. 대한민국에서 대통령을 탄핵하는 과정은 국회에서 탄핵소추(발의 및 의결) → 헌법재판소에서 탄핵 심판 → 탄핵 결정 여부의 3단계로 진행됩니다.

 


🔹 1. 대통령 탄핵 사유

대한민국 헌법 제65조에 따르면, 대통령이 헌법 또는 법률을 위반한 경우 탄핵이 가능함.

🔻 탄핵 사유 예시 🔻

  1. 헌법 위반: 국민주권 원칙, 민주주의 원칙, 법치주의 등 위반
  2. 법률 위반: 형법(뇌물수수, 직권남용 등), 선거법, 국가보안법 등 위반
  3. 심각한 직무 수행 불능: 대통령이 직무를 수행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경우

💡 단, 단순한 실정(정책 실패 등)은 탄핵 사유가 될 수 없음.


🔹 2. 대통령 탄핵 절차

대통령 탄핵은 국회 → 헌법재판소를 거쳐야 함.

📍 1단계: 국회의 탄핵소추 발의

탄핵 발의 조건

  • **국회 재적 의원 3분의 1 이상(100명 이상)**의 서명이 필요
  • 국회의원들이 탄핵 사유를 명확히 제시해야 함

탄핵소추 발의 후 절차

  • 발의된 탄핵소추안은 국회의장이 24시간 이내에 본회의 보고
  • 본회의 보고 후 72시간(3일) 이내에 표결 진행

📍 2단계: 국회의 탄핵소추 의결

탄핵 의결 조건

  • 국회 재적 의원 과반수(150명 이상) 찬성 시 탄핵소추안 가결
  • 탄핵소추안이 통과되면 대통령의 직무는 즉시 정지됨
  • 대통령 직무 정지 기간 동안 국무총리가 대통령 권한 대행

탄핵소추안 가결 후

  • 탄핵소추의결서가 헌법재판소로 송부됨
  • 헌법재판소가 본격적인 심판 절차에 돌입

📍 3단계: 헌법재판소 탄핵심판

탄핵심판 과정

  1. 헌법재판소는 탄핵소추 의결서 접수 후 180일 이내에 심판을 완료해야 함
  2. 심판 과정에서 탄핵 사유에 대한 심리 및 변론 진행
  3. 대통령 측 변호인단이 방어 논리를 제시할 기회가 있음

탄핵 결정 요건

  • 헌법재판소 재판관 9명 중 6명 이상(2/3 찬성) 찬성 시 탄핵 확정
  • 탄핵이 확정되면 대통령은 즉시 파면(직위 박탈)되며, 즉시 퇴임

탄핵 인용 vs 기각

결정설명

인용 (탄핵 확정) 대통령이 파면되며, 새로운 대통령 선거가 치러짐 (60일 이내)
기각 대통령이 복귀하여 직무를 계속 수행할 수 있음

🔹 3. 탄핵이 확정되면?

  1. 대통령 즉시 파면 → 대통령 권한이 상실되며, 대통령직에서 내려옴.
  2. 대통령 퇴직 후 처벌 가능 → 탄핵된 대통령은 일반인 신분이 되어 형사처벌 가능.
  3. 새로운 대통령 선출60일 이내 대통령 선거 실시.
  4. 전직 대통령 예우 박탈 → 경호·연금·비서관 지원 등이 중단됨.

🔹 4. 대한민국 대통령 탄핵 사례

1️⃣ 노무현 대통령 탄핵 (2004년)

  • 이유: 대통령의 선거법 위반(공직선거법상 정치적 중립 의무 위반)
  • 결과: 헌법재판소에서 기각(탄핵되지 않음)
  • 사유: 법 위반이 크지 않으며, 탄핵할 정도의 중대한 위법이 아님

2️⃣ 박근혜 대통령 탄핵 (2016~2017년)

  • 이유: 헌법 및 법률 위반(최순실 국정농단 사건, 대기업 뇌물수수 등)
  • 탄핵 과정:
    1. 2016년 12월 9일 → 국회에서 탄핵소추안 가결 (찬성 234명)
    2. 2017년 3월 10일 → 헌법재판소에서 만장일치(8:0)로 탄핵 인용
  • 결과: 박근혜 대통령 즉시 파면 → 대통령직 상실
  • 후속 조치:
    • 대통령 선거(2017년 5월)에서 문재인 대통령 당선
    • 박근혜 전 대통령은 뇌물·직권남용 혐의로 구속 및 재판

해외 대통령 탄핵 사례 정리

대통령 탄핵(임기 중 해임) 제도는 대통령제(또는 반대통령제) 국가에서 시행됩니다.
하지만 실제로 탄핵이 가결되는 사례는 드뭅니다.

아래에서는 미국, 브라질, 한국 등 주요 국가들의 대통령 탄핵 사례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 1. 미국 (U.S.A)

🇺🇸 미국 대통령 탄핵 제도

  • 미국 헌법 제2조 제4항에 따라 대통령은 "반역, 뇌물, 중대한 범죄 및 비행"(high crimes and misdemeanors)을 저질렀을 경우 탄핵 가능.
  • 탄핵 절차:
    1. 하원: 과반수 찬성 시 탄핵소추 통과
    2. 상원: 3분의 2(67명 이상) 찬성 시 탄핵 확정

💡 미국 역사상 탄핵으로 대통령직을 잃은 사람은 없음.
(탄핵이 상원에서 부결되거나, 임기 전에 사임함)


🔹 ① 앤드루 존슨 (1868년) → 탄핵 실패

  • 사유: 의회 동의 없이 장관 해임 (권한 남용)
  • 결과: 하원에서 탄핵소추안 가결 → 상원에서 1표 차이로 부결 (탄핵 실패)

🔹 ② 리처드 닉슨 (1974년) → 사임

  • 사유: 워터게이트 사건(정치적 도청 사건)
  • 결과: 탄핵 직전 자진 사임 → 사임 후 후임 대통령(제럴드 포드)에게 사면받음

🔹 ③ 빌 클린턴 (1998년) → 탄핵 실패

  • 사유: 위증 및 사법 방해 (백악관 인턴 모니카 르윈스키와의 스캔들)
  • 결과: 하원에서 탄핵소추안 통과 → 상원에서 부결 (탄핵 실패, 계속 임기 수행)

🔹 ④ 도널드 트럼프 (2019년, 2021년) → 2번 탄핵, 2번 부결

  • 첫 번째(2019년):
    • 사유: 우크라이나 대통령에게 조 바이든 아들 관련 수사 요청 (권력 남용)
    • 결과: 하원에서 탄핵소추안 가결 → 상원에서 부결 (탄핵 실패)
  • 두 번째(2021년):
    • 사유: 2021년 1월 6일 미 의사당 폭동 선동
    • 결과: 하원에서 탄핵소추안 가결 → 상원에서 부결 (탄핵 실패)

💡 트럼프는 미국 역사상 유일하게 2번 탄핵된 대통령


✅ 2. 브라질

🔹 ① 페르난도 콜로르 (1992년) → 탄핵 성공

  • 사유: 부정부패(뇌물수수)
  • 결과: 탄핵 직전 자진 사임 → 이후 부패 혐의로 8년간 정치 활동 금지

🔹 ② 지우마 호세프 (2016년) → 탄핵 성공

  • 사유: 회계 부정 (정부 예산 조작)
  • 결과: 브라질 의회에서 탄핵 가결 → 대통령직 박탈

✅ 3. 아르헨티나

🔹 ① 페르난도 데 라 루아 (2001년) → 탄핵 X, 하지만 하야

  • 사유: 경제 위기(2001년 아르헨티나 경제 붕괴)
  • 결과: 국민들의 대규모 시위로 대통령궁 탈출 후 자진 사임

✅ 4. 베네수엘라

🔹 ① 카를로스 안드레스 페레스 (1993년) → 탄핵 성공

  • 사유: 부패 혐의 (공금 횡령)
  • 결과: 대법원 판결 후 대통령직 박탈

✅ 5. 한국

🔹 ① 박근혜 (2017년) → 탄핵 성공

  • 사유: 헌법 및 법률 위반(국정농단 사건, 뇌물수수 등)
  • 결과: 국회에서 탄핵소추안 가결 → 헌법재판소에서 만장일치 탄핵 확정 (즉시 파면)

✅ 6. 페루

🔹 ① 마르틴 비스카라 (2020년) → 탄핵 성공

  • 사유: 부패 혐의 및 공공자금 유용
  • 결과: 페루 의회에서 재적 의원 87명 중 105명 찬성 → 대통령직 박탈

 

끝.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