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원미디어(주) 일봉 차트 분석
1. 기본 정보
- 현재 종가: 9,580원 (+5.16%)
- 시가: 9,120원
- 고가: 9,670원
- 저가: 9,120원
- 거래량: 115,754주 (거래량 증가, 매수세 유입)
2. 주가 흐름 분석
- 강한 상승세
- 최근 저점 6,900원(38.84% 상승) 이후 지속적인 상승세.
- 최근 최고점(9,670원) 근접 후 약간의 조정.
- 신고가 돌파 여부가 중요, 추가 상승 가능성이 존재.
- 이동평균선 분석
- 5일선(단기)과 20일선(중기)이 상승세 유지 → 단기적인 강세.
- 60일선과 120일선도 우상향 중, 장기적인 상승 가능성 유효.
- 현재 9,670원(전고점) 돌파 여부가 핵심.
3. 보조지표 분석
(1) 거래량 & OBV (On Balance Volume)
- 거래량 급증: 강한 매수세가 유입됨.
- OBV(거래량 누적 지표) 증가 중, 이는 매수세 지속을 의미.
(2) RSI (Relative Strength Index, 상대강도지수)
- RSI: 67.43 / RSI Signal: 58.99
- RSI 70에 근접, 과매수 구간 진입 가능성.
- 단기적으로 조정이 있을 수도 있음.
(3)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이동평균 수렴·확산 지수)
- MACD: 163.16 / Signal: 167.37 (-4.21)
- MACD가 Signal선 아래로 내려오며 매도 신호 발생 가능성.
- 단기적으로 조정 가능성 있음.
4. 투자 전략
(1) 단기 투자자
- 저항선: 9,670원 (전고점)
- 돌파 시 추가 상승 가능, 목표가 10,000원~10,500원.
- 지지선: 9,200원~9,300원
- 이탈 시 조정 가능, 8,900원까지 하락 가능성 있음.
- 단기 매매 전략:
- 9,700원 돌파 시 매수, 목표가 10,000원~10,500원.
- 9,200원 이탈 시 손절 고려.
(2) 중·장기 투자자
- 60일선(8,900원) 이상 유지 시 상승 가능성 높음.
- 9,670원 돌파 후 안정적인 거래량 유지가 중요.
- 장기 목표:
- 10,500원 돌파 시 11,000원~12,000원까지 상승 가능.
📊 대원미디어(주) 주봉 차트 분석
주가 흐름 분석
- 장기 하락 후 반등
- 최고점(18,600원) 대비 약 -48.49% 하락 후, 6,900원에서 반등.
- 현재는 9,580원까지 회복하며 상승세 전환 시도 중.
- 5주, 20주 이동평균선을 돌파하며 긍정적인 흐름.
- 이동평균선 분석
- 5주선(단기)과 20주선(중기) 돌파 후 상승세 유지.
- 60주선(11,000원 부근)이 저항선으로 작용할 가능성 큼.
- 120주선(13,000원 이상) 돌파 시 강한 상승 전환 가능.
- 9,500~9,700원 구간에서 조정 가능성 존재.
3. 보조지표 분석
(1) 거래량 & OBV (On Balance Volume)
- 거래량 증가: 매수세가 점진적으로 유입 중.
- OBV(거래량 누적 지표) 상승: 상승 지속 가능성이 높아짐.
(2) RSI (Relative Strength Index, 상대강도지수)
- RSI: 65.42 / RSI Signal: 56.32
- 과매수(70)에는 도달하지 않았으나, 단기 상승세 지속 가능성.
- 조정 시 9,000원~9,200원 지지 여부 확인 필요.
(3)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이동평균 수렴·확산 지수)
- MACD: 116.65 / Signal: -106.36
- MACD가 Signal선을 상향 돌파, 강한 매수 신호 발생.
- 중기 상승 추세 진입 가능성 존재.
📊 대원미디어(주) 월봉 차트 분석
주가 흐름 분석
- 장기 하락 후 횡보 구간
- 최고점(65,700원) 대비 -82.80% 하락 후, 6,750원에서 횡보.
- 최저점(3,600원) 이후 반등했으나 큰 상승 흐름 없음.
- 장기 하락 추세에서 벗어나려면 10,000원 돌파가 필요.
- 이동평균선 분석
- 5개월선(단기)과 20개월선(중기)이 하락세 지속.
- 60개월선(14,570원)이 강한 저항선으로 작용 가능.
- 9,500원~10,000원 구간 돌파 여부가 중요.
보조지표 분석
(1) 거래량 & OBV (On Balance Volume)
- 거래량 감소: 장기적인 관심 부족.
- OBV(거래량 누적 지표) 횡보 중, 강한 매수세 없음.
(2) RSI (Relative Strength Index, 상대강도지수)
- RSI: 42.63 / RSI Signal: 43.39
- 50 이하로 약세 국면, 하지만 30 이하가 아니라 극단적 저평가는 아님.
- 50 이상 돌파 시 상승 가능성 커질 전망.
(3) MACD (Moving Average Convergence Divergence, 이동평균 수렴·확산 지수)
- MACD: -623.89 / Signal: -420.84 (-203.05)
- MACD가 Signal선 아래로 여전히 약세 유지.
- 장기 상승 모멘텀이 부족함.
투자 전략
(1) 단기 투자자
- 저항선: 9,500원~10,000원
- 돌파 시 12,000원까지 추가 상승 가능.
- 지지선: 6,500원~6,700원
- 이탈 시 6,000원까지 추가 하락 가능성 있음.
- 단기 매매 전략:
- 10,000원 돌파 시 매수, 목표가 12,000원~14,000원.
- 6,500원 이탈 시 손절 고려.
(2) 중·장기 투자자
- 60개월선(14,570원) 돌파 여부 중요.
- 9,500원 돌파 후 안정적 거래량 증가 필요.
- 장기 목표:
- 14,000원 돌파 시 18,000원까지 상승 가능.
📊 대원미디어(주) 재료, 특징주
25년 4월 닌텐도 스위치2 출시예정,
대원미디어(048910)는 1977년 설립된 문화 콘텐츠 기업으로, 애니메이션 제작, 캐릭터 라이싱 게임 유통, 출판 등 다양한 사업을 운영하고 있다.
'짱구는 못말려', '도라에몽', '원피스'' 등 인기 해외 애니메이션의 국내 배급을 담당하며 자체 애니메이션 제작에도 참여해왔다. 또 닌텐도 스위치 국내 유통을 맡아 게임기 및 타이틀 판매를 통해 주요 매출을 창출하고 있다.
대원미디어의 가장 큰 특징은 닌텐도 게임기의 국내 유통을 담당한다는 점이다. 2017년부터 닌텐도 스위치 국내 유통을 시작했으며, 현재 닌텐도 및 완구 유통 사업이 매출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닌텐도 스위치 출시 이후 시간이 지나면서 지속적으로 매출 감소가 나타났으며 이에 2024년도 매출 감소가 불가피한 상황이었다. 그러나 2025년 상반기로 예상되는 차세대 콘솔 '닌텐도 스위치 2' 출시를 앞두고 대원미디어 실적 반등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증권업계에서는 스위치 2 출시로 인해 2025년 대원 미디어 매출이 1400억원 이상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 대원미디어(주) 재무적 장점, 단점
📌 재무적 장점
- 매출 성장
- 2021년: 2,998억 원 → 2022년: 3,035억 원 → 2023년: 3,161억 원
- 매출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4년 전망(2,564억 원)은 다소 감소 예상되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
- 지배주주지분 증가
- 2021년: 903억 원 → 2022년: 953억 원 → 2023년: 1,009억 원
- 기업의 자본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긍정적인 요소.
- 부채비율 안정적 관리
- 2021년: 38.27% → 2022년: 51.54% → 2023년: 58.61%
- 부채비율이 다소 증가했지만 위험 수준은 아님, 안정적인 자본 구조 유지.
- 유보율 증가 (재무 안정성 상승)
- 2021년: 1,387.36% → 2022년: 1,460.70% → 2023년: 1,554.98%
-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을 계속해서 축적하고 있어, 장기적으로 자본 확충 가능.
- 배당 유지
- 배당성향(DPS)이 2021년 100원에서 2022년과 2023년에도 100원 유지
- 주주 친화적인 정책 유지 중으로, 안정적인 배당 매력을 가짐.
⚠️ 재무적 단점
- 2024년 이익 감소 전망 (순이익 적자)
- 2023년: 89억 원 (흑자) → 2024년 전망: -22억 원 (적자 전환)
- 당기순이익이 급감하며, 순손실이 예상됨, 이는 투자 리스크로 작용 가능.
- 분기별 실적 악화
- 2024년 3분기(9월) 예상 영업이익 -16억 원, 4분기(12월) 예상 14억 원
- 분기별 적자가 확대되는 구간이 있으며, 경영 성과가 불안정함.
- ROE (자기자본이익률) 감소
- 2021년: 6.50% → 2022년: 6.04% → 2023년: 6.34% → 2024년 예상: -10.21%
- 기업이 자본을 활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능력이 급격히 약화될 가능성이 있음.
- EPS (주당순이익) 하락 및 적자 전망
- 2023년: 494원 → 2024년 예상: -171원
- 주당순이익이 음수(-)로 전환되며, 주주 가치가 감소할 가능성이 있음.
- PER(주가수익비율) 과거 대비 높음
- 2021년: 47.10배 → 2022년: 36.11배 → 2023년: 24.35배
- 기업의 실적 대비 주가가 여전히 다소 고평가될 가능성이 있음.
📌 종합 결론
✅ 장점
- 매출 지속 증가, 지배주주지분 확대
- 안정적인 부채비율과 높은 유보율
- 배당 유지로 투자 매력 존재
⚠️ 단점
- 2024년 적자 전망 및 이익 감소
- 분기별 실적 불안정성
- ROE 감소 및 EPS 하락, 주주 가치 훼손 가능성
💡 투자 시 고려할 점:
📌 매출 증가세가 유지되고 있지만, 2024년 예상 적자가 투자 리스크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음.
📌 장기적으로 실적 개선 여부와 비용 절감 노력이 중요하며, 배당 유지 여부도 체크 필요.
단기적으로..
닌텐도스위치2 출시 영향의 상승세를 기다리며 모아보기엔 나쁘지 않을듯..
끄읏. 감사합니다.
'Char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LNG산업 관련, 원전관련, 저평가 하이록코리아 분석 (1) | 2025.03.06 |
---|---|
2차전지 제조장비, 전고체배터리 관련, 엠플러스 차트, 재무 분석 (1) | 2025.03.06 |
미래전력망 HVDC 기술에 대해 비전공자도 이해하기 쉽게 설명해봅니다. (관련기업까지) (2) | 2025.02.28 |
비전공자도 이해하기 쉽게! 일본의 엔 캐리트레이드(Yen Carry Trade) 청산에 대해 알아보자. 실제사례도. (1) | 2025.02.24 |
데이터센터 구축하려면? 핵심 인프라와 세계적인 데이터센터 사례 분석 (0) | 2025.02.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