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Anything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차이점 (한국 그리고 미국)

by Manager Ahn 2025. 1. 23.
반응형

한국에서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구분은 크게 법적 정의, 효능·효과, 제조 기준, 판매 방식 등에서 차이가 납니다.


1. 법적 정의

  • 건강기능식품:
    •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에 따라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의 인증을 받은 제품.
    • 일반 식품과 의약품의 중간 단계로, 특정 기능성(예: 면역력 강화, 장 건강 등)을 가진 식품.
    • 질병의 치료나 예방이 아니라, 건강 유지와 증진에 초점.
  • 의약품:
    • 「약사법」에 따라 식약처의 허가를 받은 제품.
    • 질병의 치료, 예방 또는 경감을 목적으로 하는 제품.
    • 전문의약품과 일반의약품으로 구분되며, 처방 여부에 따라 관리.

2. 효능·효과

  • 건강기능식품:
    • 특정 건강 기능을 돕는 수준의 효능이 입증된 식품.
    • 예: 면역력 강화, 혈압 조절, 항산화 작용, 장 건강 유지 등.
    • 질병 치료를 목적으로 사용될 수 없음.
  • 의약품:
    • 질병 치료 및 예방에 대한 임상적 효과와 안전성이 과학적으로 입증된 제품.
    • 예: 감기약, 항생제, 진통제 등.

3. 제조 기준

  • 건강기능식품:
    • 원료와 성분이 식약처에서 인정한 기능성 원료에 한정.
    • Good Manufacturing Practices(GMP) 기준에 따라 생산.
  • 의약품:
    • 의약품은 더 엄격한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 기준(KGMP)을 따라야 함.
    • 원료와 성분, 제조 공정에 대한 통제가 더 엄격.

4. 판매 방식

  • 건강기능식품:
    • 약국, 대형 마트, 온라인 쇼핑몰 등 다양한 유통 채널에서 구매 가능.
    • 처방전 없이 누구나 구매 가능.
  • 의약품:
    • 일반의약품은 약국에서만 구매 가능.
    • 전문의약품은 병원 처방전이 있어야만 구매 가능.

5. 포장 및 표시

  • 건강기능식품:
    • "건강기능식품"이라는 표시를 의무적으로 포함.
    • 제품의 기능성과 주의사항 명시.
  • 의약품:
    • 의약품 분류에 따라 "전문의약품" 또는 "일반의약품"으로 표시.
    • 성분, 용법·용량, 금기사항 등이 상세히 기재됨.

미국에서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차이점

미국에서도 건강기능식품과 의약품의 차이는 한국과 유사하지만, 관리 체계 및 법적 규제가 조금 다릅니다.


1. 법적 정의

  • 건강기능식품(Dietary Supplements):
    • 미국에서는 건강기능식품이 「Dietary Supplement Health and Education Act (DSHEA, 1994)」에 의해 규제됩니다.
    • 비타민, 미네랄, 허브, 아미노산 등으로 구성된 제품.
    • 질병 치료가 아닌, 건강 유지 및 보조 역할.
  • 의약품(Drugs):
    • 「Food, Drug, and Cosmetic Act」에 따라 FDA(미국 식품의약국)의 허가를 받은 제품.
    • 질병의 치료, 예방 또는 완화를 목적으로 사용.

2. 효능·효과

  • 건강기능식품:
    • 질병을 치료하거나 예방한다고 광고할 수 없음.
    • 대신, "건강을 유지하거나 특정 신체 기능을 지원한다"는 구조·기능성 주장만 허용.
    • 예: "뼈 건강을 지원합니다", "면역 체계를 강화할 수 있습니다."
  • 의약품:
    • 특정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는 것으로 임상적으로 검증된 효능을 가짐.
    • FDA가 안전성과 효과를 평가하여 허가.

3. 제조 기준

  • 건강기능식품:
    • GMP에 따라 제조되지만, 의약품만큼 엄격하지 않음.
    • FDA는 건강기능식품의 사전 허가를 요구하지 않으며, 제품 안전성과 라벨 정확성은 제조사가 책임.
  • 의약품:
    • FDA의 철저한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하며, 임상시험을 통해 안전성과 유효성을 입증해야 함.
    • GMP에 따라 제조 기준이 엄격하게 관리.

4. 판매 방식

  • 건강기능식품:
    • 약국, 대형 마트, 건강식품 매장, 온라인 쇼핑몰 등에서 판매 가능.
    • 처방전 없이 누구나 구매 가능.
  • 의약품:
    • 전문의약품은 처방전 필요.
    • 일반의약품은 약국, 마트 등에서 구매 가능.

5. 규제 및 책임

  • 건강기능식품:
    • FDA는 건강기능식품의 사전 승인 권한이 없음.
    • 단, 안전성 문제나 허위 광고 발생 시 사후 관리에 관여.
    • 제조사가 제품 안전성과 효능을 입증해야 함.
  • 의약품:
    • FDA가 철저히 규제하며, 임상시험 데이터와 안전성, 효능 데이터를 검토한 후 허가.
    • 제조사의 품질 관리 의무가 매우 엄격함.

주요 차이점 요약 (한국 vs 미국)

항목한국: 건강기능식품미국: Dietary Supplements

법적 규제 기관 식약처 FDA
효능 및 효과 기능성(예: 면역력, 장 건강) 강조 구조·기능성 주장을 허용하지만 치료·예방은 불가
제조 기준 GMP(한국 기준) GMP(미국 기준)
판매 방식 약국, 마트, 온라인 등 다양 약국, 마트, 온라인 등 다양
사전 허가 여부 기능성 원료의 사전 승인 필요 사전 허가 불필요, 제조사 책임 하에 판매

마무리

  • 한국: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 원료와 안전성"이 사전에 인증된 반면, 의약품은 질병 치료나 예방에 명확한 목적을 두고 철저한 규제를 받습니다.
  • 미국: 건강기능식품은 질병 예방·치료 효과를 광고할 수 없으며, 구조와 기능을 지원한다는 점만 주장할 수 있습니다. FDA는 의약품과 달리 건강기능식품에 대해 사후 관리에 중점을 둡니다.

 

 

 

반응형

댓글